부린이기초 5

주택 시장 셀프 체크

지역별 주택(아파트)시장이 현재 어떤 상황인지 셀프진단해볼 수 있는 기능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지역을 선택하고해당지역의 5개 아파트차트를 보면서해당항목을 체크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매매 거래량이 평균이상이면서 전세(평균비율)보다 많은지? 매매가격이 상승추세인지?  매매지수가 소득지수보다 그 평균비율이 낮은지?  현재 금리가 투자수익률보다 낮은지?  주택가격적정성지수(PIR)가 평균보다 낮은지(저평가 구간)? 전세가격이 상승추세인지?  전세가율이 평균이상인지? 버블지수가 평균이하인지? 추가로 공급물량까지 체크해보면 좋겠네요.

부린이기초 2024.12.17

아파트 분양 중도금 대출 이자 간단 계산식

아파트를 분양 받으면 보통은 중도금을 분양가의 10%씩, 6회에 걸쳐 납부하게됩니다. 중도금 이자 후불제인 경우 나중에 입주할때 이자를 지급해야하는데 그 금액도 무시할 수 없는 상당한 금액입니다.중도금 대출이자 계산식예를 들어 아파트 분양가격이 6억원이고 중도금 대출금리가 5%일때 그 이자를 계산하면대출금리5%1일 금리0.0137% 잔금일2026-12-27 중도금 회차중도금일자중도금대출일수이자12024-12-27 6,000 730 60022025-03-27 6,000 640 52632025-06-27 6,000 548 45042025-09-27 6,000 456 37552025-12-27 6,000 365 30062026-06-27 6,000 183 150합계 2,922 2,402 이렇게 상당히 복잡하게..

부린이기초 2024.03.11

주택 매매와 전세 선택기준 고려사항

주택을 매매할지 전세로 임대할지 선택하는 것은 각자의 상황과 우선순위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주택 매매와 전세의 선택기준의 중요 고려사항을 정리해봅니다. 1. 재정상태주택마련에는 큰 비용이 필요해서 대출을 이용하기도 하는데요. 정부에서는 주택담보비율(LTV)과 전세보증금 대출비율을 최대 80%까지 허용합니다만 50%이하로 생각해야합니다. 그리고 연간소득에 대한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 비율(DTI)은 최대 60%까지 허용하는데 이것도 이자만 계산할때 최대 20%까지만 생각해야합니다. 즉, 현금자산이 매매든 전세든 그 금액의 절반 이상은 있어야 한다는 것이고, 연간소득이 1억원이면 이자는 2천만원이내까지만 대출하고 무리(영끌)하지 말아야 합니다. 주택마련에 무리한 투자로 삶의 질이 오히려 떨어질 수 있기..

부린이기초 2024.02.27

부동산 시장의 원리와 주요 개념(가격)

주택마련을 준비중이신 부린이라면 부동산 시장의 원리 및 주요 개념과 용어를 알아야합니다. 원가개념 먼저 원가개념이 있어야합니다. 주택의 원가는 대지비와 건축비의 합계입니다. 대지비는 토지가격의 시세(현재 시장가격)이며 건축비는 건물을 짓는데 필요한 원가 + 적정마진입니다. 토지가격 요즘 인터넷 발달로 토지가격을 간단하게 조회해볼 수 있습니다. 제가 자주 이용하는 지가조회 사이트는 밸류맵 또는 땅야 입니다. 토지의 주소를 입력하여 거래가격을 조회해보는데 해당토지의 거래시점이 먼 옛날일수도 있고 아예 거래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럴때는 인근 토지 거래사례를 비교합니다. 인근 토지 거래사례를 비교할때는 해당토지와 용도지역 및 지목이 같은 것을 참고해야하며 접한 도로의 넓이, 주변여건 등 입지가 비슷한 거래..

부린이기초 2024.02.08

월세 탈출과 그 전에 할 일

부린이용 글입니다. 사회초년생일때 보통 주거독립하면서 월세로 시작하는 경우가 많지요. 이런 월세는 임차인에게는 상당한 부담이고, 반대로 임대인에게는 짭잘한 수입원이 됩니다. 월세 선호 현상은 일시적인 현상최근 전세사기다, 금리가 높다 뭐다해서 전세보다 월세를 더 선호하는 현상이 생겼는데요. 이것은 임차인들의 임기응변 전략이며, 일시적인 현상입니다. 고금리 정책이 지속될 수 없는 이유지금의 고금리 정책은 물가를 잡기위한 고육책입니다. 경제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에 고금리 정책은 계속 유지할 수가 없고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금리는 언제든지 순식간에 내려갈 수 있습니다. 월세 탈출 전에 할 일임차인들은 월세에서 최대한 빨리 벗어나려고 노력해야하고, 월세로 거주중일때는 해야할 일이 있습니다. 첫째, 소득대비 월세..

부린이기초 2024.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