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아파트 가격

2024년 1월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 추세

통찰력차트 2024. 2. 5. 15:10

혁신적인 주택시장 분석도구 부동산통찰력차트로

2024년 1월 전국 아파트 가격, 거래량, 전세가율 추세를 살펴봅니다.

부동산 거래신고는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까지이므로 1월 거래집계는 아직 마감되지 않았습니다.

 

전국 아파트 매매, 전세 가격 추세

※2012년1월부터 현재까지 전국 아파트 가격과 거래량(매매, 전세): 직거래, 계약해제건 제외

 

부동산 심리는 여전히 매매보다 전세거래를 선호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월 연속 매매가격은 내림세,

전세가격은 오름세입니다.

 

2024년 1월 매매가격은 0.18% 하락 중,

전세가격은 0.06% 상승중입니다.

 

1월 매매 거래량은 입학 등 계절요인으로

전월보다 30% 정도 늘어난 3만건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만

여전히 월평균 거래량 4만5천건보다 적은 수치입니다.

 

 

 

 

아파트 매매가격과 함께 보는 지표들

※부동산 통찰력 차트(2006년1월부터 현재까지 전국아파트 가격(월봉, 장단기이평선), 거래량(매매,전세), 가구소득, 기준금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장단기 이평선), 거래량, 가구소득, 기준금리를 한번에 보는 부동산 통찰력차트입니다.

 

기준금리는 3.5%로 계속 유지되고 있으며, 

 

2022년7월 하락신호 이후

작년 6~10월 상승하던 전국 아파트매매가격은

1년이평선에 닿자마자 다시 하락 전환하였습니다. 

 

아파트 가격과 벌어졌던

5년이평선, 가구소득과의 격차는 점점 줄어들고 있는 중입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2012년1월부터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 마지막 거래기준)

 

 

전국 아파트 전세가율은 

최고 약75%, 최저 약55%, 평균 64.66% 였으며,

1월 현재 59.61%로 평균보다 낮은 수치입니다.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상승하는 추세이므로

전세가율은 상승추세입니다.

 

 

 

 

 

전국 아파트 버블지수, 월세지수

주택가격이 상당히 급등하지만 임대료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면 거품을 볼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통화협회팀 부동산 버블의 정의

※2012년1월부터 전국 아파트 가격지수(매매, 전세, 월세), 버블지수, 가구소득, 기준금리

 

여기에 표시한 버블지수는 월별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증감율 차이의 누적합입니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가구소득과 나란히 움직이는 월세지수는 현금이 오가는 실물경기에 가깝습니다.

 

월세지수는 미세하게 7개월 연속 상승중입니다.

 

버블지수 평균은 -12.56이며

1월 현재 -6.17로 평균보다 높습니다.

평균보다 높을수록 버블을 볼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전국 지역별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율

※2024년1월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 증감율

1월 현재 아파트매매가격이 전월대비 상승중인 지역은

대전 0.42%, 충청북도 0.12%, 강원도 0.47%, 전라남도 0.39% 입니다.

 

1월 현재까지 진행중인 전국 아파트 가격 추세를 살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특정지역을 상세하게 살펴보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https://aptapp.co.kr